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ros link
- ROS
- ros 로봇
- 리눅스
- 우분투
- 노드
- ros rviz
- ros 공부
- ros node
- ros network
- ros rqt
- ros cfg
- ros tf
- ros 동적 파라미터
- piracer
- ros 3d
- Node
- ros rqt_tf_tree
- ros 제어
- ROS topic
- ROS 기초
- ros 정적 파라미터
- ros launch
- ROS 초보
- ROS 노드
- 라즈베리파이
- ros 입문
- ros 실시간
- ros 파라미터
- 가상환경
- Today
- Total
목록개발 (14)
대원의 블로그

이번 글에서는 ROS를 본격적으로 시작을 해보고자 한다. 참고자료:[구선생 로보틱스]https://www.youtube.com/watch?v=1UGs5PML5Ag&list=PLoc4bSmQajN-y88btKBK6lvAbrTtJDrYs&index=2https://www.youtube.com/watch?v=IbGid_qvByM&list=PLoc4bSmQajN-y88btKBK6lvAbrTtJDrYs&index=3https://www.youtube.com/watch?v=bRTmMrRx4cM&list=PLoc4bSmQajN-y88btKBK6lvAbrTtJDrYs&index=4ROS의 장점모듈성: ROS는 패키지라는 형태로 다양한 모듈을 제공한다. 각각의 패키지는 특정한 기능(예: 센서 데이터 처리, 네비게이션)을..

이번 글에서는 ROS noetic 개발툴을 설치하는 과정을 다룬다.qtcreator ros 설치구글 크롬에 qtcreator ros를 검색해 들어간다. https://ros-qtc-plugin.readthedocs.io/en/latest/_source/How-to-Install-Users.html 내가 다운받은 우분투 버전은 20.04이지만 여기엔 따로 20.04 버전이 없기 때문에 18.04를 설치해주면 된다. Bionic Offline Installer를 설치해준다. 다운이 완료가 되었다면 파일에 들어가서 해당경로로 들어가서 터미널 창으로 열어준다. 밑의 코드를 입력하면 설치하는 화면이 나온다. sudo chmod 777 qtcreator-ros-bionic-latest-offline-install..

이번 글에서는 ROS noetic을 설치하는 과정을 다루도록 하겠습니다. 설치한 우분투 버전이 20.04이므로 그 버전에 맞는 ROS noetic을 설치하겠습니다. 우선 인터넷에 ROS noetic install 검색한다. https://wiki.ros.org/noetic/Installation/Ubuntu noetic/Installation/Ubuntu - ROS WikiIf you rely on these packages, please support OSRF. These packages are built and hosted on infrastructure maintained and paid for by the Open Source Robotics Foundation, a 501(c)(3) non-pr..

이번 글에서는 ROS를 설치하는 과정을 다루고자 한다. ROS란?ROS는 Robot Operating System으로 로봇 소프트웨어 개발을 위한 오픈소스 프레임워크이다. 운영 체제라는 이름을 가지고 있지만 실제로 운영체제는 아니고, 다양한 로봇 애플리케이션을 쉽게 개발, 테스트, 배포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소프트웨어 환경이다. ROS는 로봇 하드웨어와의 상호작용, 센서 데이터 처리, 제어 시스템 구현, 시뮬레이션 등을 포함한 로봇 개발의 많은 부분을 쉽게 구현할 수 있게 돕니다. 우분투 설치ROS를 설치하는 방법에는 크게 두가지가 있다. 1. 윈도우 + 우분투 듀얼 부팅 설치 2. 윈도우 내 가상머신 설치난 윈도우+ 우분투 듀얼 부팅이 좀 더 권장된다는 얘기가 있어서 듀얼부팅으로 설치하였다. ..

WSLWSL(Window Subsystem for Linux)은 윈도우에서도 리눅스를 사용할 수 있도록, 위도우 내에 실제 리눅스 커널을 탑재해놓은 것이다. 이에 따라 모든 시스템 콜이 호화되며, 윈도우에서 별도의 프로그램을 설치할 필요없이 리눅스 우분투를 설치해서 사용할 수 있다. WSL 세팅제어판-> 프로그램 -> 프로그램 및 기능 -> Windows 기능 켜기/끄기 -> Linux용 Window 하위 시스템 활성화 여기까지 체크를 하고 확인을 눌러준다. 그러고서 컴퓨더를 재부팅해주면 된다. 우분투 설치하기이제 우분투를 설치해주면 된다. 우분투는 Microsoft Store에서 다운받을 수 있다. 버전이 엄청 많았는데 Piracer 프로젝트에서 가장 최신 버전을 추천한다고 하길래 20.04 버전을 깔..

가상환경을 사용하는 이유여러가지 프로젝트를 하다 보면, 수많은 패키지를 설치하게 되고, 프로젝트가 종료된 이후 오랜만에 프로젝트를 작동하다 보면 버전이 그 사이에 달라져서 애먹는 경우가 생긴다.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가상환경을 사용해야 한다.가상환경을 사용하게 되면누군가에게 프로젝트를 공유할 때, 설치된 버전들과 함께 넘겨주면 바로 실행 가능함프로젝트 간에 버전이 충돌할 일이 없음.따라서, 주변 친구들한테 물어본 결과 Anaconda를 이용하여 가상환경을 쓰면 좋다는 말을 듣고 Anaconda를 설치하게 되었다. Anaconda 설치Anaconda를 설치하기 위해서는 Anaconda 다운로드에 가서 설치하면 된다. 중간에 설치하면서 크게 어려울 건 없고 환경 변수에 포함되게 하는 항목에 체크를 했다.(다..